2013. 8. 27. 01:10

어셈블리어 - ADD,SUB 함수

ADD ... SUB ??

함수는 정말 쉽습니다.

함수의 이름대로 더하고 빼는 역활을 합니다.

 

ADD

예제 : ADD 인자1,인자2

인자2를 인자1와 더해 나온 값을 인자1에 넣는 명령어 입니다.

인자1 + 인자2  =(삽입)=> 인자1 

말이 필요없이 다른 예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.

EAX엔 10이 들어있습니다.

ADD EAX,50

명령어를 실행 시키면 EAX엔 무슨 값이 들어가 있을까요?

네! 맞습니다 EAX(10) + 50 =(삽입)=> EAX

답은 60입니다~

 

SUB

예제 : SUB 인자1,인자2

인자2를 인자1에 빼서 나온 값을 인자1에 넣는 명령어입니다.

ADD명령어와 비슷하지만 더하기,빼기의 유일 차이점이 있습니다.

인자1 - 인자2 =(삽입)=> 인자1

예제

EAX엔 15000이 들어있습니다.

SUB EAX,5000

이 명령어를 실행 시키면 EAX엔 무슨 값이 들어가 있을까요?

비밀 댓글로 달아주세요~ ㅋㅋㅋ

맞추시는분들껜 사은품은... 없지만 작은 축하의 말을 해드릴게요 ㅋㅋ

 

이해하기 쉽죠??..그렇겠죠? 그럴거에요 여러분들은 똑똑하시니..

 

2013. 8. 27. 01:00

어셈블리어 - MOV,LEA 명령어

MOV , LEA 명령어란?

자 이제 본격적인 함수 명령어 공부에 들어갈텐데요.

공부하기 전에 이 명령어들은 컴퓨터가 우리 명령을 알아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라는건

명심해야합니다. 간혹 내가왜 이런걸 공부하고 있지? 라시는분들도 계시기때문에..

 

MOV

└MOVE 의 줌말

예제 : mov 인자1,인자2

인자2를 인자1으로 을 넣는 일을 하는 명령어입니다.

레지스터 EAX로 예를 들어본다면

mov eax,100

은 100을 eax 저장공간에 값을 넣는다는 뜻이 됩니다.

그럼 eax엔 100의 값이 저장되있습니다.

주의할 점은 인자하나만으론 이 함수 사용이 안된다는것이고

인자1,2 가 모두 숫자로 이루어 져있으면 안됩니다.

대신 인자1,2에 모두 레지스터로 이루어 져있다면 괜찮습니다. 

LEA

예제 : lea 인자1,인자2

인자2를 인자1으로 주소를 넣는 일을 하는 명령어입니다.

레지스터 EAX,ESI로 예를 들어본다면

lea eax, dword ptr ds:[esi]

은 esi를 eax 저장공간에 주소를 넣는것입니다.

그럼 eax엔 esi의 주소가 저장되있습니다.

 

 

둘의 차이점을 확실히 아셔야합니다.

많이들 해깔려하시더라구요.

 

 

2013. 8. 27. 00:28

어셈블리어 - 레지스터*

레지스터가 뭐죠?

 

 레 지스터 뒤에 * 표시를 한 건 그만큼 중요하단 뜻입니다!

레지스터는 저장공간입니다.

C/C++ 에서는 변수와 같은역활을 하며 메모리에서 연산을 할 때 사용합니다.

기억장치들 중 속도가 가장 빠르며 사용이 편리하지만 이름은 정해져있습니다.

레지스터도 각각의 용도에따라 나뉘어져있는데요.

그 종류를 알아볼거에요

EA(Accumulator)X

흔히 계산용도(사칙연산)로 쓰입니다.

계산할 땐 이 변수를 가장 많이 자주 쓰죠 

ED(Data)X

이것도 EAX와 같은 연산으로 쓰입니다.

EAX를 쓰고있어서 부족할 때 땜빵,덤(?) 으로 쓰인다고 합니닼

EC(Count)X

루프문 반복문 을 사용할 때 카운팅의 역활을 한다고 합니다.

C언어로 예를 들어보면 for문에서 변수 i(Index) 의 역활을 하죠.

하지만 카운팅을 하지않을 땐 EAX EDX 처럼 보통 저장공간으로 연산으로

사용해도 무방하다고 합니다.

EBX

이 레지스터도 별거 없어요 ㅋㅋ

카운트 레지스터(ECX)처럼 특정 목적을 가진게 아니라서

연산으로 사용해도 되고 공간이 좀더 필요할때 사용해도 된답니다~

ESI,EDI

이건 약간 이해가 안가시겠지만 그래도 변수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.

다만 EAX~EDX는 주로 연산에 사용되지만

ESI는 문자열이나 반복 데이터 처리, 메모리옮기는데 사용됩니다.

"ESI는 시작지 인덱스"

"EDI는 목적지 인덱스 "

이 말이 재대로 축약된 말인거같습니다.

 

 

 

이처럼 어려운게 전혀 없게 설명을 해놨지만 놓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.

그래도 이 정도로 이해만 했다면 충분히 알고 있는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^^